2024. 2. 14. 15:35ㆍ카테고리 없음
1 다음 중 위험성평가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? (획득 20 점 / 배점 20 점)
- 1 가능성과 중대성을 행렬, 곱셈, 덧셈 등으로 산출하는 방법으로 시행이 쉬워졌다. 정답
- 2 빈도·강도를 계량적으로 산출하지 않고도 위험성평가를 할 수 있다.
- 3 체크리스트법을 활용할 수 있다.
- 4 위험성 수준 3단계 판단법을 활용할 수 있다.
정답해설
위험성을 추정할 때, 가능성(빈도)과 중대성(강도)을 행렬·곱셈·덧셈 등 계량적으로 산출하도록 하여 시행이 어려웠습니다.
정답2 다음은 위험성평가의 절차 중 사전준비 단계의 설명이다. 거리가 먼 것은? (획득 0 점 / 배점 20 점)
- 1 위험성평가 실시규정의 작성
- 2 위험성평가 실시담당자에 대한 교육
- 3 위험성 수준과 그 판단 기준 등의 설정
- 4 사업장 순회 점검 정답
정답해설
사업장 순회 점검은 유해·위험요인 파악 단계입니다.
정답3 다음은 위험성평가 절차 중 위험성 결정 단계의 설명이다. 거리가 먼 것은? (획득 0 점 / 배점 20 점)
- 1 근로자에게 노출되었을 떄 얼마나 위험한지, 위험성 수준이 허용 가능한 수준인지 결정
- 2 안전보건 체크리스트에 의한 방법으로 파악 정답
- 3 위험성 수준의 결정과 허용 가능한지에 대한 판단
- 4 사전준비 시에 마련해 놓은 위험성 수준 판단 기준이 조금 모호한 것 같을 경우 여러 가지 위험성평가 방법의 도움을 받을 수 있음
정답해설
안전보건 체크리스트에 의한 방법으로 파악은 유해·위험요인 파악 단계입니다.
정답4 다음은 위험성평가 절차에 대한 설명이다. 적절하지 않은 것은? (획득 0 점 / 배점 20 점)
- 1 사전준비를 해야 합니다.
- 2 유해·위험요인 파악해야 합니다.
- 3 위험성 결정을 해야 합니다.
- 4 위험성평가 기록 및 보존은 하지 않아도 됩니다. 정답
정답해설
위험성평가의 절차는 ①사전준비, ②유해·위험요인 파악, ③위험성 결정, ④위험성 감소대책 수립 및 실행, ⑤위험성평가의 공유, ⑥기록 및 보존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.
정답5 다음은 위험성평가의 절차에 대한 설명이다. 맞는 것은? (획득 20 점 / 배점 20 점)
- 1 1) 사전준비 2) 유해·위험요인 파악 3) 위험성 결정 4) 위험성 감소대책 수립 및 실행 5) 위험성평가의 공유 6) 기록 및 보존 정답
- 2 1) 유해·위험요인 파악 2) 사전준비 3) 위험성 결정 4) 위험성 감소대책 수립 및 실행 5) 위험성평가의 공유 6) 기록 및 보존
- 3 1) 유해·위험요인 파악 2) 위험성 결정 3) 사전준비 4) 위험성 감소대책 수립 및 실행 5) 위험성평가의 공유 6) 기록 및 보존
- 4 1) 위험성 감소대책 수립 및 실행 2) 사전준비 3) 위험성 결정 4) 유해·위험요인 파악 5) 위험성평가의 공유 6) 기록 및 보존
정답해설
위험성평가의 절차는 1) 사전준비 2) 유해·위험요인 파악 3) 위험성 결정 4) 위험성 감소대책 수립 및 실행 5) 위험성평가의 공유 6) 기록 및 보존입니다.
1 다음은 위험성평가 실시 시기에 대한 설명이다. 거리가 먼 것은? (획득 0 점 / 배점 20 점)
- 1 최초평가는 사업장이 성립된 날(사업개시일·실착공일)로부터 1개월 이내에 착수해야 함
- 2 수시평가는 사업장에 추가적인 유해·위험요인이 생기거나, 기존 유해·위험요인의 위험성이 높아진 경우에 실시해야 함
- 3 정기평가는 실시한 최초평가와 수시평가 결과의 적정성을 1년마다 정기적으로 재검토해야 함
- 4 상시평가는 1년 단위로 일상화된 안전 활동을 말함 정답
정답해설
상시평가는 월-주-일 단위로 일상화된 안전 활동을 말합니다.
정답2 다음은 위험성평가의 방법 중 대표적인 방법이다. 거리가 먼 것은? (획득 0 점 / 배점 20 점)
- 1 위험 가능성과 중대성을 조합한 빈도·강도법
- 2 체크리스트법
- 3 위험성 수준 3단계(저·중·고) 판단법
- 4 위험요인 기술법 정답
정답해설
위험성평가 방법 중 대표적인 방법에는 위험 가능성과 중대성을 조합한 빈도·강도법. 체크리스트법, 위험성 수준 3단계(저·중·고) 판단법, 핵심요인 기술법 등이 있습니다.
정답3 다음은 위험성평가의 절차 중 사전준비 단계의 설명이다. 거리가 먼 것은? (획득 0 점 / 배점 20 점)
- 1 위험성평가 실시규정의 작성
- 2 위험성평가 실시담당자에 대한 교육
- 3 위험성 수준과 그 판단 기준 등의 설정
- 4 사업장 순회 점검 정답
정답해설
사업장 순회 점검은 유해·위험요인 파악 단계입니다.
정답4 다음 중 위험성평가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? (획득 20 점 / 배점 20 점)
- 1 가능성과 중대성을 행렬, 곱셈, 덧셈 등으로 산출하는 방법으로 시행이 쉬워졌다. 정답
- 2 빈도·강도를 계량적으로 산출하지 않고도 위험성평가를 할 수 있다.
- 3 체크리스트법을 활용할 수 있다.
- 4 위험성 수준 3단계 판단법을 활용할 수 있다.
정답해설
위험성을 추정할 때, 가능성(빈도)과 중대성(강도)을 행렬·곱셈·덧셈 등 계량적으로 산출하도록 하여 시행이 어려웠습니다.
정답5 다음은 위험성평가 개정 주요 내용을 설명한 것이다. 거리가 먼 것은? (획득 0 점 / 배점 20 점)
- 1 어려운 위험성평가를 쉽게 재정의합니다.
- 2 쉽고 간편한 평가방법을 제시합니다.
- 3 평가시기를 명확히 하고, 정기평가의 부담을 낮춥니다.
- 4 위험성평가의 모든 과정에 근로자가 참여하지 않아도 됩니다. 정답
정답해설
위험성평가의 모든 과정에 근로자가 참여하여야 합니다.
1 다음은 위험성평가 관련 용어 중 어떤 것에 대한 설명인가?유해·위험요인이 사망, 부상 또는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과 중대성 등을 고려한 위험의 정도를 의미합니다. (획득 0 점 / 배점 20 점)
- 1 유해위험요인
- 2 위험성 정답
- 3 안전
- 4 절대영역 안전
정답해설
위험성에 대한 설명입니다.
정답2 다음은 위험성평가의 절차 중 사전준비 단계의 설명이다. 거리가 먼 것은? (획득 20 점 / 배점 20 점)
- 1 위험성평가 실시규정의 작성
- 2 위험성평가 실시담당자에 대한 교육
- 3 위험성 수준과 그 판단 기준 등의 설정
- 4 사업장 순회 점검 정답
정답해설
사업장 순회 점검은 유해·위험요인 파악 단계입니다.
정답3 다음은 위험성평가를 갈음하는 조치에 대한 설명이다. 적절하지 않은 것은? (획득 20 점 / 배점 20 점)
- 1 위험성평가 방법을 적용한 안전·보건진단
- 2 공정안전보고서
- 3 근골격계부담작업 유해요인조사
- 4 안전의식 진단 정답
정답해설
안전의식 진단은 위험성평가를 갈음하는 조치가 아닙니다.
정답4 위험성평가의 대상에 대한 설명이다. 거리가 먼 것은? (획득 20 점 / 배점 20 점)
- 1 업무 중 근로자에게 노출된 것이 확인되었거나 노출될 것이 합리적으로 예견 가능한 모든 유해·위험요인
- 2 매일 같은 장소에서 반복하는 작업
- 3 임시·수시로 하는 작업 포함
- 4 매우 경미한 부상 및 질병만을 초래할 것으로 명백히 예상되는 유해·위험요인도 포함 정답
정답해설
매우 경미한 부상 및 질병만을 초래할 것으로 명백히 예상되는 유해·위험요인은 위험성평가의 대상에서 제외 가능합니다.
정답5 다음은 위험성평가 절차 중 위험성 결정 단계의 설명이다. 거리가 먼 것은? (획득 20 점 / 배점 20 점)
- 1 근로자에게 노출되었을 떄 얼마나 위험한지, 위험성 수준이 허용 가능한 수준인지 결정
- 2 안전보건 체크리스트에 의한 방법으로 파악 정답
- 3 위험성 수준의 결정과 허용 가능한지에 대한 판단
- 4 사전준비 시에 마련해 놓은 위험성 수준 판단 기준이 조금 모호한 것 같을 경우 여러 가지 위험성평가 방법의 도움을 받을 수 있음
정답해설
안전보건 체크리스트에 의한 방법으로 파악은 유해·위험요인 파악 단계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