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NTP에 적합한 계획짜기와 실행

2021. 8. 1. 11:45습관/책사꾼 라이프해커

 

21년 7월초부터 계획표를 짜서 실행하고 있다.

계획표는 일주일에 5일은 짜지만, 그 실행은 매우 뎌뎠다.

계획표 포맷은 나름 이것저것 공부해서 잘짰다고 생각되었는데 무엇이 문제인지 잘 감이 오지 않았다.

https://docs.google.com/spreadsheets/d/1cy8y9c-HSUKVDgOLZ7Z5NhmlIgbUi4icsERgSDu9sXg/edit?usp=sharing 

 

일일 계획표_0_2107025v

기본전략 시기 계획표 사용,아침 샤워 직후,계획표 짜기 도서관 자리 앉자마자,계획표 수정, 보기 자기 전 아이패드,하루 피드백 지식근로자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는 실제로 사

docs.google.com

그러던 중 우연히 MBTI검사를 하게 되었다.

INTP - A 형이 나와서 그 특성을 찬찬히 살펴보던 중 나무위키에서 계획과 관련된 다음과 같은 글을 보게되었다.

 

주어진 계획을 그대로 수행하기보다는 즉흥적 활동을 통하여 자기 역량을 효과적으로 발휘하는 편이다. 계획을 철저하게 잘 짜거나, 짜는 과정에만 재미를 느끼는 건 '계획형'이라고 볼 수 없다. 다시 말해 계획을 철저하게 짜놨다 한들 곧 다시 즉흥적으로 행동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유형이다. 조언 문단에도 후술하겠지만, 이들에게는 상세한 계획을 늘어놓기보다는 약간의 수칙이나 방향 몇 개, 혹은 큰 틀 하나를 설정한 뒤 그것을 벗어나지 않는 수준에서 즉흥적으로 행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오히려 효과적이다.

 

그래서 계획 파트를 없애고 기록만 하는 게 좋다고 판단된다.

하루에 남아있는 빈칸을 어떻게 채워나갈지 그건 내 손에 달려있는 것이다. 어쩌면 이것도 즉흥적이다. Left 페이지에 하루에 해야할 일들 큰틀로 잡아놓고, 그것을 수행해나가는 건 나에게 달려있다. 시간표를 따르는 것이 아니다. 이건 더이상 계획표가 아니라 나의 일상 기록표이다. 기록을 보고 분석하며 미래를 계획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.

 

https://docs.google.com/spreadsheets/d/15VY5tKhM5PsBWjClhY1Gcz1Xh_1-dWC1RCGOm-PHLK0/edit?usp=sharing 

 

일상 기록표_0_210801v

기본전략 일상 기록표,하루에 남아있는 빈칸을 어떻게 채워나갈지 그건 내 손에 달려있는 것이다. L페이지에 하루에 해야할 일들 큰틀로 잡아놓고, 그것을 수행해나가는 건 나에게 달려있다. 시

docs.google.com